KSTC의 보유 비행기
KSTC의 교육 실습장
교과과정
1학년 | |||
---|---|---|---|
1학기 | 2학기 | ||
교과목 | 과정소개 | 교과목 | 과정소개 |
항공기기체1 | 항공기 기체 정비에 필요한 기본적인 기체 이론 교육을 바탕으로 공학적인 역학의 해석능력을 기르고, 기체 각부의 구조 설계에 대해 학습하며, 항공기 제작 및 정비 분야에 필요한 기본적인 이론을 학습한다. | 비행기역학 | 비행하는 항공기에 작용하는 힘에 관한 학문으로 항공기가 각각의 힘에 어떻게 작용 하는가를 연구한다. 비행형태에 따른 비행성능과 항공기의 안정성과 조종성을 해석하고 운동특성 등을 학습한다. |
항공역학 | 항공기의 운동과 비행기의 운동축에 대해 연구하며, 유체역학의 기초이론을 바탕으로 유체와 운동에너지, 기본물리량 같은 기초이론을 선행학습하고 원리 및 최근의 기술 흐름을 충실히 반영하여 운용 및 응용기술, 능력을 학습할 수 있다. | 항공기계기및전기장비 | 항공기의 전기, 계기, 통신 및 항법계통의 기본원리와 구성을 이해하고 장비의 구조 및 작동원리를 학습함으로써 현장 실무에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과 기능을 학습한다. |
항공우주학 개론 |
항공우주와 관련된 자연현상과 특성을 이해하고 항공기 비행의 기본 역학과 우주에 관한 공학을 배우며, 재료, 구조 , 유체, 연소, 전자, 제어 등 다양한 분야에 걸친 기초교육과 이를 바탕으로 응용하고 학습한다. | 항공기기체2 | 항공기 기체 정비에 필요한 기본적인 기체 이론 교육을 바탕으로 공학적인 역학의 해석능력을 기르고, 기체 각부의 구조 설계에 대해 학습하며, 항공기 제작 및 정비 분야에 필요한 기본적인 이론을 학습한다. |
항공기동력 장치1 |
항공기 동력장치인 피스톤기관의 구성과 각종장치의 기능들을 학습하며, 왕복 엔진의 작동원리와 관련된 공유압 기초원리를 학습하여 정비지식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 항공기동력 장치2 |
항공기 동력장치인 가스터빈엔진의 구성과 각종장치의 기능들을 학습하며, 가스터빈 엔진의 작동원리와 관련된 공유압 기초원리를 학습하여 정비지식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
전자전기개론 | 전지, 전자공학 및 정보통신 계열에서 다루는 중요한 기본적인 내용을 학습하며, 기본 및 응용단위와 기본 물리학으로 측정 과학에서 중요한 개념인 정밀도와 정확도, 측정단위들을 학습하고, 회로와 발전기, 계기도 함께 학습함으로써 기초물리 개념부터 고급내용까지 쉽개 접하고 익힐 수 있는 학습이다. | 항공법규 | 항공관련 법규를 연구하고 학습함으로써 항공종사자의 법률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항공법, 시행령, 시행규칙에 대한 내용을 학습하고 항공기 안전과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반드시 숙지해야 할 항공법규를 학습한다. |
기초공학 비학점과정 |
항공정비사가 되기 위한 사물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다양한 지식 및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항공기 문제 해결에 적용시킬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다양한 분야의 기초 원리와 개념을 쉽고 간결하게 설명하며 기초적이면서도 폭넓은 지식과 독창력을 기르는데 중점을 둔다. | 전자기초실습1 비학점과정 |
항공기 정비사로서 갖추어야 할 전기전자회로에 대한 기본 지식을 습득하고, 납땜실습과 멀티미터(회로시험기)사용법을 숙지하며, 각종 전기전자소자의 원리 및 사용법을 익히며, 전기전자회로에 대한 이해와 회로의 고장탐구 능력을 배양한다. |
기체기초실습1 비학점과정 |
항공기 기체(동체, 날개, 랜딩기어, 나셀, 파이론 등)의 기본이론을 바탕으로 항공기 기체 정비와 제작 실무를 위한 항공기 기체 구조의 정비, 제작, 수리를 중심으로 기체 분야의 정비실무 능력을 배양한다. | 기관기초실습1 비학점과정 |
항공기 동력장치(왕복엔진, 가스터빈엔진)의 기본 이론을 바탕으로 항공기 동력장치에 대한 정비 및 검사방법을 익히고 그에 따를 동력장치 정비 실무 능력을 향상시킨다. |
영어1(IELTS) 비학점과정 |
영어2(IELTS) 비학점과정 |
2학년 | |||
---|---|---|---|
1학기 | 2학기 | ||
교과목 | 과정소개 | 교과목 | 과정소개 |
공업역학 | 산업전반의 공업기술의 이론지식을 습득하고, 공업역학의 정의와 기본개념을 이해한다. 질점의 정역학, 강체의 평형, 구조물 해석 등의 다양한 공식과 계산법을 학습하고, 지렛대, 활차, 윤축, 기계의 효율, 단진동 등의 다양한 이론등을 습득하여 공업기술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한다. | 유체역학1 | 유체의 물리적 성질과 단위 및 정지된 유체의 상태량 변화와 유동하는 유체의 연속 및 운동방정식을 학습함으로써 유체의 성질, 유체의 정역학, 유동의 기본방정식과 유동의 차원 해석에 대한 이론과 응용사례를 학습 함으로써 자동차, 항공 등과 같은 유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공학의 여러 분야에 응용 및 연구 할 수 있다 |
열역학1 | 열역학의 기본이론을 학습하고, 열과 유체의 물리적인 성질과 이동 과정 및 역학적 상태량을 수치적으로 해석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열역학 법칙, 열력학적 해석, 기관의 사이클, 열의 이동 및 동력등을 바탕으로 공학분야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재료역학1 | 공업재료의 다양한 성질을소개하며 나아가 외력을 받고 있는 물체의 변형과 응력상태를 해석하기 위한 기초역학을 다루는 과목으로 응력과 변형 등의 기본 개념을 학습한다. 기계나 인공 구조물 등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공업 재료가 가지는 특징을 가장 합리적으로 계산 할 수 있도록하여, 사용 중에도 이상이 없도록 안정되게 하며, 경제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기본 능력을 배양한다. |
항공기공유압장비 | 자동화 제어 기술을 단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내용으로, 공유압 장치의 개요, 제어, 회로 등으로 구성되고 이를 학습함으로써 자동화 설비의 필 수 요소인 공압 및 유압장치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익힐수 있도록 한다. | 기체수리 | 기체에 필요한 모양으로 판금 또는 골격을 제작, 수리하며 기체 표면의 용접, 구성품의 수리 및 교환 작업을 하는데 필요한 이론들을 항공법에서 규정한 항공기의 강항성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수리 및 제작을 위한 기본지식과 작업방법에 대해 학습하고, 구조의 기본적인 강도해석과 설계에 대한 기본개념을 이해하여 항공기 제작 및 정비 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한다. |
헬리콥터일반 | 헬리콥터는 일반적인 고정익의 항공기와 서로 다른 요소가 많으므로 헬리콥터의 전체 구성을 비롯하여 동체의 구조를 기본으로 로터 공기역학, 성능해석, 안정성 해석 및 헬리콥터 설계 개념을 습득한다. | 항공기재료 | 항공기 재료를 철강 재료, 비철 금속재료, 비금속 재료, 복합 재료로 분류하여 이들 재료의 특성 및 용도와 금속 재료의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열처리 방법과 부식 방지법을 학습한다. |
비파괴검사개론 | 비파괴검사의 사용목적과 종류를 이해하고, 검사 방법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며 기본 원리를 이애하여 시험 실습의 효과를 높이고 실제 응용하는 능력을 배향한다. | 기계공작법1 | 기계와 기계공업의 기초이론을 학습하고 비절삭 가공법과 소성가공, 용접과 열처리 기술 및 각종 가공법의 이론을 학습하여 다양한 실무 능력을 선행 학습할 수 있다. |
전공실습1 비학점과정 |
항공기 동력장치의 구성품을 장탈착하고 분해 조립하여 조절을 하고, 문제점을 찾아 해결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며 구성품들의 기능과 연계된 작동에 대해 학습한다. | 전공실습2 비학점과정 |
항공기 외피에 대한 수리 방법 및 연결 부품의 제작과 구성품의 풀림 방지를 위한 작업에 대해 학습하고, 측정기구 및 각종 공구 사용법에 대해 익히고, 적절한 사용법을 통한 적용을 습득하여 항공기 및 구성품의 유지에 대한 기술을 습득한다. |
영어3(IELTS) 비학점과정 |
영어4(IELTS) 비학점과정 |
자격증
항공기의 안전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자격증이며, 매 비행시 기체점검을 실시하는 라인정비사와 항공기의 정비에 사용되는 주요 비품을 점검하고 승인하는 공장정비사로 나뉜다. 학과시험과 실기 시험을 패스하여 취득할 수 있으며, 국토교통부 지정 교육기관인 본교에서는 필기시험 4과목, 실기시험 1과목이 면제 된다.(면허과정에만 해당)
항공기 제작이나 수리 및 개조시 부품 및 재질의 규격을 검사하거나 항공기의 성능을 시험, 안전성검사를 한다. 또한 동력장치, 착륙장치, 조종장치 등을 점검하여 이상이 없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전문성을 갖춘 자격이다.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을 통하여 패스할 수 있으며 자격증 취득시 공무원 시험시에 가산점을 부여 받고, 기업체 취업시 우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IELTS(International English Language Testing System)는 영국문화원(The British Council), 케임브리지 대학교에 의해 공동 개발, 관리, 운영되는 영국식 영어 능력 시험이다. 대학 진학이나 이민 수속용으로 흔히 사용되며, 호주, 뉴질랜드 등의 영연방국가는 물론, 비 영연방국가에서도 일부 채택하고 있다.
항공기가 이착륙하는 과정에서 다른 항공기와 다양한 제반 정보를 전달하여 항공기가 안전하게 이륙 및 착륙, 운행 할 수 있도록 통제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 자격이다.
737-엔진
737-시뮬레이터
737-랜딩기어
737-도어
강의실1
강의실2
강의실3
강의실4
기관실습실-A
세스나 실습실
종합실습실1
종합실습실1
종합실습실1
종합실습실1
종합실습실1
종합실습실1
종합실습실1
컴퓨터실
종합실습실2
종합실습실2
종합실습실2
종합실습실2
종합실습실2
종합실습실2
종합실습실2
종합실습실2
종합실습실2
종합실습실2
종합실습실2
종합실습실4
종합실습실4
종합실습실5
종합실습실5
Beechcraft-Baron
Cessna-182
J79엔진
JT3C엔진
진광길 교수님
항공정비해외유학과정 / 교수
조진국 교수님
항공안전공학과정 / 교수
김유나 교수님
항공영어 / 교수
김상운 교수님
항공기계정비과정 / 교수
박성태 교수님
항공시스템정비과정 / 산학협력처장
임성규 교수님
항공시스템정비과정 / 주임교수
윤사현 교수님
항공정비과정(면허) / 주임교수
임승빈 교수님
항공정비과정(면허) / 교수
조동주 교수님
항공정비과정(면허) / 교수
박동명 교수님
항공정비부사관과정 / 주임교수
소지훈 교수님
항공정비부사관과정 / 교수
한국과학기술직업전문학교는 재학생 및 졸업생의 취업을 위한 진로지원센터를 운영하여 취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졸업생중 재취업을 희망할 경우 지속적인 취업 연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